상단 스크립트

2015년 7월 28일 화요일

식품 등 영업자 등에 대한 위생교육기관지정

식품 등 영업자 등에 대한 위생교육기관지정

[시행 2014.4.22.]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4-113호, 2014.4.22., 타법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규제개혁법무담당관), 043-719-1528

1. 식품위생교육대상자

가. 「식품위생법」에 의한 위생교육대상자

(1) 「식품위생법」 제41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영업자 및 유흥주점영업의 유흥종사자

(2) 「식품위생법」 제36조의 규정에 의한 영업을 하고자 하는 자

(3) 「식품위생법」 제41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위생교육을 받아야 하는 자 중 영업에 직접 종사하지 아니하거나 둘 이상의 장소에서 영업을 하고자 하는 자가 그 종업원 중 식품위생에 관한 책임자로 지정한 자

(4) 「식품위생법」 제88조의 규정에 의한 집단급식소의 설치운영자 또는 그 집단급식소의 식품위생관리책임자

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의한 위생교육대상자

(1)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3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국민건강상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교육을 받을 것을 명한 영업자 및 그 종업원

(2)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4조의 규정에 의한 영업을 하고자 하는 자

(3)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2조의 규정에 의한 품질관리인으로 선임된 자

(4)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3조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교육을 받아야 하는 자 중 둘 이상의 장소에서 영업을 하고자 하는 자 또는 총리령이 정하는 사유로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자가 그 종업원 중 책임자로 지정한 자

2. 교육대상자별 위생교육기관

가. 「식품위생법」에 의한 위생교육기관

img17125533

img17125534

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의한 위생교육기관

img17125538

3. 위생교육평가기관

○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4. 위생교육기관의 신청

○ 위생교육기관의 신청은 별지 제1호 서식에 의한다.

부칙

Top

이 고시는 2008년1월1일 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 시행당시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위생교육기관으로 지정받은 기관은 동 개정고시에 의한 교육기관으로 본다.

 (시행일) 이 고시는 공표한 날부터 시행한다.

 (시행일) 이 고시는 공표한 날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는 발령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정부조직개편에 따른 소관명칭 변경을 위한 민원의 전자적 신청 및 처리에 관한 규정 등 일부개정)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축산물검사 수수료 및 검사의뢰기준 등 일부개정고시)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라 사용 중인 서식은 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 고시에 따라 개정된 부분을 수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별표 서식 정보

Top

한글파일 다운로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