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스크립트

2015년 8월 11일 화요일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에 관한 고시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에 관한 고시

[시행 2014.4.25.] [해양경찰청고시 제2014-2호, 2014.4.25., 일부개정]
해양수산부(해양보전과), 044-200-5302

이 고시는 「해양환경관리법」 제23조제4항같은 법 시행령 제35조 제94조의 규정에 따라 해양배출 폐기물의 처리기준 검사를 대행할 수 있는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이하 "전문검사기관"이라 한다.)의 지정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해양경찰청장은 해양경찰연구소장으로 하여금 전문검사기관의 검사능력을 평가하여 별표 1의 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될 경우 별표 2에 따라 일반항목과 특수항목 및 생태독성시험항목으로 지정분야를 구분하여 전문검사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을 받고자 하는 자는 별지 제1호서식의 지정신청서에 다음 각 호의 서류를 첨부하여 해양경찰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기술인력, 시설 및 장비 등의 확보내역서

2. 검사업무 수행계획서(검사수수료, 검사업무 수행절차·방법, 시설·장비의 유지관리 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다)

3. 분석능력이 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

4. 사업자 등록증 사본 (「전자정부법」 제36조제1항에 따라 담당 공무원이 행정정보의 공동이용을 통하여 서류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 경우 신청인이 확인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서류를 첨부하도록 하여야 한다.)

해양경찰청장은 전문검사기관 지정신청서를 접수한 경우 해양경찰연구소장에게 별표 3의 평가방법 및 기준에 따라 신청기관의 검사능력을 별지 제12호서식에서 별지 제17호서식까지에 따라 평가하게 하고, 해양경찰연구소장으로부터 그 결과를 제출받아 신청서가 접수된 날부터 45일 이내에 신청기관에 통보하여야 한다.

해양경찰청장은 제4조의 규정에 따른 평가결과에 따라 전문검사기관을 지정하는 때에는 별지 제2호서식의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서를 교부하고 관보에 고시하여야 한다. 또한 그 내용을 별지 제3호서식의 등록대장에 기재하여야 한다.

② 삭제

③ 삭제

제5조에 따라 지정서를 교부받은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대하여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별지 제4호 서식의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사항 변경신고서를 작성하고 그 변경내용을 증명하는 서류와 지정서를 첨부하여 해양경찰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1. 대표자의 변경

2. 전문검사기관의 상호변경

3. 전문검사기관의 소재지변경

② 해양경찰청장은 제1항에 따른 신청이 적합하다고 인정하면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서를 변경하여 신청인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해양배출폐기물 위탁처리업체로부터 별지 제7호 서식의 시료접수부에 의한 폐기물의 성분검사를 의뢰받은 전문검사기관은 의뢰자의 사업장에서 시료채취 및 별지 제11호 서식에 의한 시료채취입회확인서를 작성하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 따라 검사하여야 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시료를 접수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의뢰자에게 별지 제8호서식부터 별지 제10호서식까지의 해양배출폐기물 검사성적서를 교부하여야 한다. 다만, 생태독성시험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30일간 검사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① 전문검사기관은 검사와 관련된 다음 각호의 모든 기록물을 작성하여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1. 시료접수부(별지 제7호서식)

2. 해양배출폐기물 검사성적서(별지 제8호서식에서 별지 제10호서식까지)

3. 시료채취입회확인서(별지 제11호서식)

4. 검사항목별 분석자료

② 전문검사기관은 해양배출 목적으로 의뢰를 받아 성분검사를 실시한 경우 해양환경관리법 제76조의2의 규정에 따른 폐기물해양배출정보관리시스템(폐기물성분검사시스템)에 그 검사 결과를 입력하여야 한다.

① 전문검사기관의 장은 해양경찰청장으로부터 검사자료 등의 제출요구가 있을 때에는 이에 응하여야 한다.

② 해양경찰청장은 관계공무원으로 하여금 전문검사기관에 출입하여 시료의 분석 등의 업무수행 과정을 확인하거나 기술인력 및 장비 보유현황 등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

① 해양경찰연구소장은 제5조에 따라 지정된 전문검사기관에 대하여 전문검사기관의 지정기준 및 제반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충족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표 4의 기준에 따라 매년 숙련도를 평가 할 수 있다.

② 해양경찰연구소장은 전문검사기관에 대한 숙련도 평가를 실시하기 전에 해당 전문검사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③ 해양경찰청장은 해양경찰연구소장이 실시한 숙련도 평가 결과에 따라 검사능력이 평가기준에 미달하는 전문검사기관의 장비 및 기기의 보완·개선 요구, 그 밖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① 해양경찰연구소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이 별지 제5호 서식의 해양배출폐기물 검사 숙련도 평가 면제신고서를 제출하는 경우 당해 전문검사 기관에 대하여 숙련도 평가를 면제할 수 있다.

1. 전년도 숙련도 평가 결과 일반분야, 특수분야의 각 분야별 전 항목 90점 이상으로 우수기관으로 판정된 경우

2. 천재지변 등의 사유로 숙련도 평가가 불가능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② 해양경찰연구소장은 전문검사기관이 분석실의 이전, 검사시설의 개·보수, 검사팀 조직개편 등의 사유로 숙련도 평가를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6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숙련도 평가를 유예할 수 있다.

① 해양경찰청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전문검사기관의 지정을 취소·철회하거나 6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그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다만, 제1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을 취소하여야 하고 제2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지정을 철회하여야 한다.

1. 허위 또는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지정을 받은 경우

2. 지정서를 자진 반납한 경우

3. 해양배출폐기물 검사성적서를 허위로 발급한 경우

4. 다른 사람에게 지정서를 대여한 경우

5. 기술인력과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사항이 별표1의 지정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6. 숙련도 평가 결과 개선 요구에 따라 3개월 이내에 개선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

7. 천재지변 등으로 검사업무가 불가능한 경우

② 해양경찰청장은 제1항에 따라 지정을 취소·철회하거나 정지처분을 한 때에는 그 내용을 관보에 공고하여야 한다.

제4조 제11조 규정에 따라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자는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 신청을 할 수 없다.

1. 전문검사기관지정을 위한 평가결과 부적합하여 지정불가가 결정된 날로부터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자

2. 연속해서 2회 이상 평가결과 부적합으로 결정된 자의 경우 지정불가가 결정된 날로부터 1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3. 전문검사기관으로서 지정이 철회된 날로부터 1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고시 발령 후의 여건이나 현실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 이 고시의 폐지, 개정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는 기한은 2017년 4월 18일까지로 한다.

부칙

Top

이 고시는 고시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 시행전 해양경찰청 고시 제2006-20호(’06. 11. 23) 및 제2008-10호(’08. 7. 18)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에 관한 고시」에 의하여 지정된 전문검사기관은 이 고시의 전문검사기관으로 본다.

이 고시는 고시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 시행전 해양경찰청 고시 제2009-11호(’09.11.3)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에 관한 고시」에 의하여 지정된 전문검사기관은 이 고시의 전문검사기관으로 본다.

이 고시는 고시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 시행전 해양경찰청 고시 제2010-2호(’10.8.12)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에 관한 고시」에 의하여 지정된 전문검사기관은 이 고시의 전문검사기관으로 본다.

이 고시는 고시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 시행전 해양경찰청 고시 제2011-3호(’11.1.28)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에 관한 고시」에 의하여 지정된 전문검사기관은 이 고시의 전문검사기관으로 본다.

이 고시는 고시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 시행전 해양경찰청 고시 제2011-6호(’11.4.29) 「해양배출폐기물 전문검사기관 지정에 관한 고시」에 의하여 지정된 전문검사기관은 이 고시의 전문검사기관으로 본다.

별표 서식 정보

Top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한글파일 다운로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구글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