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스크립트

2015년 8월 30일 일요일

질병관리본부 뇌사자관리 손실보상금 지급 규정

질병관리본부 뇌사자관리 손실보상금 지급 규정

[시행 2013.1.1.] [질병관리본부예규 제211호, 2012.11.26., 일부개정]
질병관리본부(총무과), 043-719-7015

이 규정은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뇌사판정대상자를 관리하다가 발생한 뇌사자관리 손실보상금(이하 "뇌사손실보상금"이라 한다)을 지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뇌사손실보상금은 장기를 기증하지 못한 뇌사판정대상자를 관리하던 장기구득기관 또는 뇌사판정대상자관리전문기관(이하 "뇌사자관리기관"이라 한다)에 지급한다.

① 뇌사손실보상금은 장기구득기관 또는 뇌사자관리기관에서 뇌사자관리로 발생한 진료비로 하되, 급여는 본인부담금, 비급여는 1/2을 보상하고, 선택진료비는 보상하지 않는다.

②뇌사관리도중 기증의사 철회한 자의 진료비는 보상하지 않는다.

③안구기증만을 목적으로 장기구득기관 또는 뇌사자관리기관에 이송된 자를 관리한 경우는 제외한다.

④지급금액은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의 장이 예산의 범위 안에서 정한다.

① 장기구득기관 또는 뇌사자관리기관은 다음 각호의 서류를 갖추어 신청한다.

1. 뇌사자관리 손실보상금 신청서(별지 제1호서식)

2. 진료비 영수증(사본)

3. 장기기증이 이루어지지 못한 사유를 증명하는 서류(의무기록서, 소견서 등 사본)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은 제4조 규정에 의한 신청이 있는 경우 예산의 범위 내에서 빠른 시일 내에 지급한다.

① 국립장기이식관리기관의 장은 제5조의 규정에 의하여 뇌사손실보상금이 지급된 후 필요한 경우 소속 직원으로 하여금 장기구득기관 또는 뇌사자관리기관의 관련서류를 열람하거나 관계인을 면담하게 하는 등 조사를 할 수 있다.

②제1항에 의한 조사결과 서류를 허위로 작성하였거나, 부당하게 청구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지급한 뇌사손실보상금의 반환을 명하거나, 향후 지급하여야 할 금액에서 상계할 수 있다.

부칙

Top

이 규정은 2013. 1. 1부터 시행한다.

별표 서식 정보

Top

한글파일 다운로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구글광고